‘국민템’이던 이 신발 브랜드, 기업 주가 ‘뚝’…CEO도 고개 저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어글리 슈즈(못생긴 신발)의 대명사로 국내에서 국민템으로 여겨지던 신발 브랜드 크록스의 주가가 약 30% 급락했다.
7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크록스는 이날 2분기 실적 발표에서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11%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크록스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11억 달러(약 1조 5200억원)로 시장 전망치에 부합했다.
실적 전망이 시장의 예상을 크게 벗어나자 크록스 주가는 이날 종가 기준 29.2% 떨어져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낙폭은 2011년 10월 이후 가장 컸다.
기대 이하의 실적 전망이 나온 배경으로는 소비자들의 구매 성향 변화가 꼽힌다. 크록스가 주력하던 어글리 슈즈 트렌드가 더 이상 시장에서 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앤드루 리스 크록스 최고경영자(CEO)는 운동화 수요가 다시 늘고 있다고 짚으면서 “2026년 북중미 월드컵과 2028년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을 앞두고 소비자들이 나이키, 아디다스 같은 스포츠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여파로 비용이 증가한 점도 반영됐다.
수전 힐리 크록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올해 하반기 관세로 약 4천만 달러(약 550억원)의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크록스 측은 비용 관리에 나서고 있으며, 할인 판매도 줄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리스 CEO는 “미국 소비자들이 구매에 매우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들은 구매하지 않고, 매장에도 가지 않는다. 방문객 수가 줄고 있다”고 했다. 특히 저소득층 소비자에게 더 인기 있는 크록스의 도매·아울렛 부문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FT는 이를 두고 “높은 금리, 상품 가격 상승,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감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 둔화하는 노동시장 등이 미국 소비자 지출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낯가리는 장? 여행만 가면 변비” 이유 있었다…‘이것’ 챙기면 해결
저녁 먹고 또 속쓰림?…“약 말고 ‘이것’ 15분만 하세요” 英약사 비결 공개
카톡 백업 서비스 ‘톡서랍’, 요금 인상된다…구독하려면 지금이 기회
‘천연 수면 유도제’라던데…“오래 먹으면 심부전 위험 90%↑”
“손가락 구부렸다 펴보세요”…‘딱’ 소리 나면 당장 쉬어야 한다고?
‘불닭’ 열풍에 주가 150만원…‘더 매운 라면’으로 맞불 놓은 ‘이곳’
“같은 양 먹어도 살 더 빠진다”…다이어트 핵심, ‘이것’ 위주 식단
남성, 여성보다 ‘이 암’ 발병률 4배 높다…이유는 ‘성호르몬’
6m3uc64
관련링크
- 이전글메벤다졸, 헝가리산 베목스(VERMOX) 정보 - 러시아 직구 우라몰 ulA24.top 25.11.05
- 다음글프릴리지 효과의 이해와 비교 25.11.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